블록체인(16)
-
블록체인의 동작 원리
하나의 새로운 블록을 구성한 경우, 마치 체인처럼 이전부터 이어져 내려오던 블록체인의 맨 끝에 이 새로운 블록을 연결시켜야 한다. 새로운 블록을 기존 블록체인의 끝에 연결시키려면, 해당 블록의 이름에 해당하는 해시 값을 찾아내야 한다. 새로운 해시 값을 성공적으로 찾아내는 경우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어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된다. 새로 구성한 블록의 이름에 해당하는 해시를 찾아내는 일은 수없이 많은 시도를 반복해야 하는 매우 힘든 과정이다. 왜냐하면 새로운 블록의 해시는 반드시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정해진 목푯 값보다 작아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목표 해시 값이 00 ff32라고 가정하고, 새로 만든 블록의 해시 값이 12fa3b라고 하면, 이 값이 목푯 값 보다 더 크기 때문..
2021.05.29 -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의 활용 사례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라 세계 경제는 저성장에 빠져있고, 경기 회복에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 위기 상황 속에서 경제 및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와 "비대면화"가 확산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이 일 생활에 어느 부분까지 녹아있는지 알아보자 1. 전자계약 시스템 : "전자 계약"이란 온라인상에서 전자문서 형태로 계약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실질적으로 법적 효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존의 문서(종이) 계약의 단점인 시간, 장소 등의 제약을 해결하며,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는 중앙 서버에서 관리하는 전자계약과 달리 전자문서의 내용의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계약서를 블록체인으로 접목하여 위조, 변조가 불가능하고 계약 체결의 조건이..
2021.05.29 -
클레이튼 표준 토큰 만들기 (인프런 "코사트"님 강의)
인프런 "코사트" 선생님의 무료 강의를 들으면서 토큰 만들기 강의를 맛 보기로 했다 무료 강의라서 부담없이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주소 참조! https://www.inflearn.com/course/%ED%81%B4%EB%A0%88%EC%9D%B4%ED%8A%BC-%ED%91%9C%EC%A4%80%ED%86%A0%ED%81%B0# 환경 설정! ide.klaytn.com/ 프로그래밍 , 토큰 발행하는 툴 baobab.scope.klaytn.com 클레이튼에서 움직이는 모든 토큰을 볼 수 있다.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이더리움의 이더스캔과 같은 사이트 Kaikas : 클레이튼 블록체인 지갑 구글에 Kaikas 검색해서 크롬 확장자 다운로드한다. 환경 설정 시작 ide.klaytn.com/ 으로 들어가..
2021.05.24 -
블록체인 (Blockchain) 이란?
블록체인"이란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통해서 관리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한 형태로, 거래 정보를 담은 장부를 중앙 서버 한 곳에 저장하는 것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노드)에 저장 및 보관하는 기술(데이터 분산 처리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이라고도 불리며, 이는 거래 정보를 기록한 원장 데이터를 중앙 서버가 아닌 참가자들이 공동으로 기록 및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은 분산처리와 암호화 기술을 동시에 적용하여 높은 보안성을 확보하는 한편 거래 과정의 신속성과 투명성을 특징으로 한다. 보안성의 강화로 해커의 공격과 데이터의 왜곡 그리고 기존 중앙집중 서버 방식(Central Serv..
2021.05.24